반응형

15일부터 덕수궁 석조전에서‘대한제국 황제의 궁궐’특별전 개최

- 덕수궁관리소, 온라인 전시·가상현실(VR) 전시 병행 / 9.15.~11.15.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소장 방현기)는 그동안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전시로만 운영되던 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특별전을 오는 15일부터 시민에게 개방한다.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특별전은 당초 9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덕수궁 석조전에서 관람운영을 하고자 하였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실내관람시설 휴관 조치로 현장 관람없이 부득이 지난 9월 22일부터 다음갤러리 등을 통한 ‘온라인전시’로 우선 운영해 왔었다.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이후 지난 12일부터 문화재청 소관 실내관람시설들이 재개관을 시작하면서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특별전 역시 대면전시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

다만, 하루 320명(1회 40명/총8회)수준으로 관람인원을 설정하고, 덕수궁관리소 누리집(deoksugung.go.kr)에서 사전예약을 통해 관람접수를 받는 등 제한적인 관람으로 운영된다.

관람시간석조전 휴관일(매주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며, 입장마감은 오후 4시 30분이다.

 

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특별전은 크게 3가지 전시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영된다.

10월 15부터 11월 15일까지 석조전 전시관을 직접 둘러보면서 관람을 할 수 있는 현장관람, ‘카카오갤러리‘를 방문하여 현장에 전시된 영상과 사진자료들을 여유롭고 자세히 검색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전시(9.22.~), 전시관 내부와 덕수궁 주요 현장을 가상현실(VR)로 촬영하여 10월 30일부터 문화재청 유튜브와 덕수궁관리소 누리집을 통해 공개되는 가상현실(VR) 전시다.

 

다양한 유형의 전시형태가 다 공개되는 만큼 특별전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와 좀 더 상세한 정보습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카카오갤러리: https://gallery.v.daum.net/p/premium/EmperorsPalace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덕수궁관리소 누리집: http://www.deoksugung.go.kr/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는 카카오갤러리를 통해 9월부터 선보이고 있는 1차 온라인 전시에 이어 10월 30일 이후부터는 2차 온라인 전시 개막도 준비하고 있다.

2차 온라인 전시에서는 가상현실(VR)을 통해 실제 전시실의 모습을 담고, 가상공간의 장점을 살려 덕수궁의 중화전, 석어당, 즉조당 등 실제 궁궐 건축들을 특별전시 공간으로 끌어들인다.

2차로 공개하는 영상은 특별전 종료 후 온라인 상설전시관인 ‘석조전 가상현실(VR) 온라인 전시관’으로 전환되며, 2021년에는 번역을 추가하여 전 세계인들을 위한 콘텐츠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는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대한제국 황궁의 건축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격동기에도 자주독립의 의지를 잃지 않았던 대한제국의 역사적 가치를 돌아보고, 그 시대의 한계와 남겨진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뜻깊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석조전 전시실 별 전시내용 요약

 

1전시실

‘조선시대 경운궁’ ‘고종어필 경운궁 현판’(1905년, 광무 9)이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왼쪽에는 ‘영조 어제어필 현판’(1770년, 영조 46)이 영상으로 나타난다. 이 전시실에서 관람객은 경운궁으로의 시간여행을 시작한다. 영조와 고종 어필의 2개 현판은 임진왜란 중 선조가 서울로 돌아와 머문 이후부터 조선시대 국왕들이 경운궁을 국난극복의 상징적 장소로 인식하고, 그 의미를 계승해왔다는 것을 알려준다.

 

2전시실

‘정동과 황궁’ 경운궁을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결정한 이후 경운궁 주변 도로확장 등 대한제국이 추진해 나간 근대로의 개혁 상황 그리고, 19세기 말 정동에 입주했던 외국 외교ㆍ종교ㆍ교육시설 등을 보여준다. 관람객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경쾌한 음악을 배경으로 한 ‘스미스씨의 서울 기행’ 영상이 외국인으로서의 시선 관점으로 정동을 안내한다.

 

3전시실

‘제국의 중심, 황궁의 건립’ 관람객들은 이 전시실을 통해 경운궁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제국의 건국을 하늘에 알린 환구단에서 시작하여, 황제의 격에 맞는 황궁의 정전인 2층 중화전을 보고 나면, 전시실 중앙에 설치된 영상 모형제작물을 볼 수 있는데 경운궁에서 덕수궁 시기까지의 권역별 변천사를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다. 이후 황실의 생활공간인 준명당(浚明堂)의 용과 봉황무늬의 도배지, 중명전(重明殿)과 돈덕전(惇德殿)에서 출토된 타일․몰딩 등의 건축물 부재 등을 살펴보고, 황궁의 정신적 중심인 선원전(璿源殿)을 만난다. 지금은 볼 수 없는 선원전의 배치도를 『선원전 진전중건도감의궤(璿源殿眞殿重建都監儀軌』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이 전시실의 마지막은 ‘서경(평양) 풍경궁(豐慶宮)’의 사진과 풍경궁에 봉안한 고종과 순종의 초상화를 옮기는 반차도(班次圖, 의궤의 행렬 그림), 그리고 일제강점기 일제에 의해 병원으로 개조되었던 궁궐 도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풍경궁 전시품 중 사진(정전인 태극전(太極殿), 정문인 황건문(皇建門))과 도면은 일반에 최초로 소개되는 자료들이며, 반차도는 소장처인 부산시립박물관 전시에 이어 두 번째로 소개된다.

 

4전시실

‘황궁의 어좌’ 전통과 근대건축이 교차하고, 건축물에 담긴 사상이 공존했던 대한제국 황궁의 정체성과 극적인 만남을 위해서 두 개의 어좌를 전시하였다. 황궁의 전통적 권위와 통치철학을 압축한 핵심인 중화전 어좌와 순종이 창덕궁에서 사용한 서양식 의자이다. 중화전 어좌는 나무 병풍인 곡병(曲屛)에 감싸여 있다. 이 어좌와 곡병은 현존하는 유물 중 제작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유산이기도 하다. 1906년에 제작된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에는 어좌와 곡병 그리고 어좌와 좌탑을 둘러싼 당가의 형태와 부재의 정확한 명칭이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의 실물과 일치한다. 곡병은 9개의 용두(龍頭,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를 가지고 있고, 청판(廳板, 곡병의 면을 이루는 판)에는 용, 모란, 초엽 등 다양한 문양이 투각되어 있다. 어좌는 6개의 용두를 가지고 있으며, 판의 무늬는 곡병과 같다. 석조전 전시실에는 공간의 제약으로 어좌만 전시되고, 곡병은 중화전에서 전시하고 있다. 한편, 순종이 사용한 황금색 서양의자는 봉황과 오얏꽃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서양식 제복과 곤룡포를 입고 이 의자에 앉은 순종의 사진이 각각 남아있다. * 당가(唐家): 어좌와 좌탑을 둘러싼 닫집(어좌를 장엄하는 조형물)

 

5전시실

‘황궁의 중건’ 1904년 4월 경운궁 함녕전에서 시작된 대화재로 경운궁의 중심건물이 대부분 불탄 이후 고종은 경운궁을 버리자는 주변의 건의를 물리치고, 중명전에 머물면서 경운궁을 중건한다. 심각한 재정난 속에서도 경운궁을 중건한 것은 자주독립의 발판으로서의 경운궁을 끝내 포기하지 않은 고종의 강력한 의지였다. 이 전시실에서는 1899년부터 1906년까지 경운궁 정문에 걸려 있던 ‘대안문(大安門)’ 현판이 가로 374㎝의 위용을 자랑하며 관람객을 맞는다. 현판 옆에는 ‘대한제국 황궁의 정문 대한문(大漢門)’이라는 영상이 경운궁의 화재와 중건, 그리고 정문현판이 바뀌는 과정을 요약하여 보여준다.

 

6전시실

‘황궁의 변화와 회복’ 이번 특별전의 시간적 하한은 1910년까지 이다. 그러나 이번 특별전은 ‘대한제국 황실의 의(衣)·식(食)·주(住)’ 3개년 기획전을 마무리하는 전시이므로, 기획전의 에필로그를 겸하여 1919년 고종 승하이후부터 지금까지의 궁궐의 변화와 회복의 노력을 영상과 엽서 등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여운을 던져준다.

석조전 2층 ‘황제의 서재와 침실, 황후의 거실과 침실’ 관람객들은 6개의 전시실을 둘러본 후 석조전 2층으로 올라가, 황제와 황후의 생활공간을 재현한 4개의 전시실로 들어간다. 석조전의 황제의 서재와 침실, 황후의 거실과 침실은 일제가 개입하기 전의 대한제국 황궁의 서양식 생활모습을 직접 볼 수 있는 현존하는 유일의 유산이다. 실내 장식은 2014년 석조전을 복원할 때 설치한 것이지만, 당시 도면과 사진을 기반으로 고증하여 재현한 것이며, 석조전이 완공되었을 때 영국 메이플사에서 납품한 가구들도 아직 남아있다.

 

 

작성자 여행방랑인

작성일 20-10-15

참조 문화체육관광부 20101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