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김현모)과 목포시(시장 김종식)는 천혜의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남도 지역의 자연유산 자원과 천연기념물을 연계한 공동 특별기획전 ‘남도의 자연, 유산이 되다’를 9일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3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 목포자연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천연기념물센터와 목포시의 목포자연사박물관 간의 공동주최로 열리며, 천연기념물센터가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천연기념물 식물, 동물, 지질·명승) 중에서 서남해안 권역의 자연유산 자원을 최초로 외부에 선보일 계획이다.
대전에 자리하고 있는 천연기념물센터는 천연기념물과 명승의 다양한 표본과 영상, 사진자료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유일의 자연유산 전문 전시관이다. 천연기념물센터와 목포자연사박물관은 지난 3월 3일에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자연유산 분야의 교류협력과 관련 콘텐츠 공유 및 공동 발굴 등을 협력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별기획전의 기본 전시기획은 ‘제1부 - 남도의 자연유산’에서 서남해안 지역의 명승과 천연기념물 대표유형(식물·동물·지질)을 소개하고, ‘제2부 - 목포의 자연유산’에서는 목포가 보유한 자연유산 자원에 대해서 소개한다.
제1부의 ▲ ‘명승’에서는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명승인 보길도 윤선도 원림과 담양 소쇄원, 화순 임대정 원림과 강진 백운동 원림 등을 선보일 계획이며, ▲ 천연기념물 ‘식물’은 강진·진도·고흥 등에서 지정된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 완도 정자리 황칠나무,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의 사진과 동종의 어린나무를 전시한다. ▲ 천연기념물 ‘동물’은 목포 남항의 철새인 노랑부리저어새를 비롯하여, 남도 일원에서 서식이 확인된 흑두루미·수달·독수리·황조롱이 등 8종의 동물 박제표본을 전시한다. ▲ 천연기념물 ‘지질’은 남도에 분포하는 천연기념물을 중심으로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와 보성 비봉리 공룡알화석 산지 등을 선보인다.
제2부에서는 목포의 자연유산인 ▲ 목포 갓바위, ▲ 유달산, ▲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특별기획전 개최를 통해 자연유산 자원과 문화유산 연계로 새로운 가치 창출과 함께 우리 자연유산의 소중함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각 지역의 자연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국민에게 홍보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기암괴석과 봉우리가 첩첩이 있고, 용화봉·청운봉(546m)·등선봉(632m) 등 3개의 주봉이 있어 삼악산이라 한다.
높이 655.8m. 삼악산은 화악산(華岳山)의 지맥이 남쪽으로 뻗어 오다 북한강과 마주치는 곳에 위치한다. 인공호수인 의암호와 청평호의 상류가 삼악산 기슭을 에워싸고 있고, 기암절벽이 험준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기반암으로 이뤄진 계곡에는 등선폭포를 비롯하여 수렴동, 옥녀탕 등의 명소가 있다. 산 정상 북서쪽에는 춘천에서 덕두원을 거쳐 가평·서울을 왕래하던 석파령이 있다.
삼악산 산록에는 금성사·등선폭포(登仙瀑布)·신흥사(新興寺) 등이 있으며, 능선을 오르면 대원암(大院庵)·상원사(上院寺)·흥국사(興國寺) 등의 사찰이 있다. 산정에 오르면 의암호(衣巖湖)와 춘천시가 한눈에 보이고 주말이면 수도권에서 많은 등산객이 찾아온다.
산정에는 맥국시대(貊國時代)에 쌓았다고 전해지는 삼악산성(三嶽山城)이 남아 있고, 삼악사터[三嶽寺址]가 있다. 등산코스로는 등선폭포에서 흥국사를 거쳐 삼악산의 정상에 이른 뒤, 다시 능선을 따라 덕두원(德斗院)으로 내려가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우수 방역 실내체육시설 포상, 비대면 사업화 지원 119억 원 소상공인에 해당하는 체육시설업 등 스포츠기업 피해지원금 100~300만 원
집합금지 또는 집합제한 조치로 피해가 큰 실내체육시설에 대해서는 별도로 추가 지원하는데요.
우수 방역 실내체육시설 5,000개소를 선정해 50억 원 규모의 방역비 및 포상금을 지원합니다.
비대면 스포츠 강습 시장 육성 사업을 기존 39억 원에서 69억 원 규모로 늘려 1,800명, 1200개소의 실내체육시설업자가 온라인·비대면으로도 사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5인 미만의 소상공인에 해당하는 체육시설업 등 스포츠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100~300만 원 규모의 피해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매출액이 감소한 사업체는 100만 원, 운영시간 단축과 같은 영업제한 조치의 대상인 사업체는 200만 원, 집합금지 대상 사업체는 300만 원을 지원합니다.
특히, 집합금지 조치된 겨울스포츠시설 내 소규모 부대업체 등도 집합금지 업종으로 간주해 소상공인에 해당하는 경우 3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외주업체 : 겨울스포츠시설 내 음식점, 노래방, 사우나, 스포츠용품점 등
*인근업체 : 겨울스포츠시설과 직접 관련된 스키대여점에 예외적으로 한정
또한 집합금지 대상인 실내체육시설업자는 고용노동부에서 휴업 기간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휴업수당의 최대 67%까지 고용유지지원금(1일 상한액 6만 6천 원, 연 180일 이내)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고용보험 홈페이지(www.ei.go.kr)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대표번호(☎1350) 또는 관할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고용유지조치 계획서는 휴업 전날까지 제출이 원칙이나 ‘21. 1. 1.부터 국가 및 지자체의 집합금지 조치로 휴업한 경우 명령일 기준으로 30일 이내 사후 신고 가능
이외에도 서울시에서는 집합금지 피해업종 소상공인에 대해 선결제상품권을 1,000억 원 규모로 발행하고, 소상공인 등 피해기업에 대해 총 8,000억 원 규모의 융자를 지원합니다.
융자 지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신용보증재단(www.seoulshinbo.co.kr)을 참고하거나 대표번호(☎1577-6119)로 문의하면 알 수 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피해 소상공인에 대해 4,000억 원 규모의 융자를 지원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중소기업육성자금지원서비스(g-money.gg.go.kr) 또는 대표번호(☎1577-5900)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피해 스포츠기업 경영·고용·수출 지원
아울러 문체부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스포츠기업의 지원을 강화하는데요.
‘스포츠 창업’, ‘중소기업’, ‘선도기업’ 사업 공모 시 코로나19 피해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직무실습(인턴십)’ 지원 사업 공모시에도 코로나19 피해기업을 우선 배정합니다.
내년 2월 온라인 수출상담회도 개최해 코로나19 상황 속에도 기업들이 수출 활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창업) 1∼2월 중 공모 예정, (중소·선도기업) ’20. 12. 22.∼’21. 1. 22. 접수 중,
[직무실습(인턴십)] 1월 중 공모 예정
스포츠산업 ‘코로나19 피해 상담 통합창구’ 운영
이와 함께 코로나19 피해 지원 상담과 안내를 위해 ‘코로나19 피해상담 통합창구’를 운영합니다.
통합창구에서는 문체부 지원 사업뿐만 아니라 고용노동부 등 정부 부처의 각종 지원 사업을 알기 쉽게 안내 할 예정입니다.
(종합안내) ☎1566-4573
(융자 안내) ☎02-410-1657
(전자우편) sisc@kspo.or.kr
(주소)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 4층 스포츠기업 상담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앞서 코로나19 피해 스포츠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3차례 대책을 발표한 데 이어 이번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향후 코로나19 상황이 완화되면 방역당국과 협의해 체육 분야 소비할인권, 스포츠강좌이용권 등 소비 진작을 통해 지원하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 스포츠산업계의 피해 회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업계 의견에 귀 기울여 대책을 지속 보완해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제목 코로나19 피해 지원금 지원 - 스키장 등 겨울 스포츠시설 일자리 및 방역지원, 스포츠사업 융자 규모 및 대상 확대. 고용유지지원금
2013년부터 시작한 ‘관광두레’는 지역주민을 관광두레피디로 선발해 주민 공동체를 기반으로 지역 고유의 특색을 지닌 주민사업체를 창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육성하는 지역 관광정책 사업인데요.
올해까지 85개 지역을 ‘관광두레’ 사업 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역관광 콘텐츠를 기반으로 숙박, 식음, 기념품, 여행사, 체험 등 5개 분야에서 총 606개 주민사업체를 발굴해 지역관광을 활성화 했습니다.
29일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21년 관광두레 신규 지역 22개소와 관광두레피디 22명을 선정 및 발표했는데요.
관광두레 - 두키, 두비
2021년 ‘관광두레’ 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부산 영도구, 대구 북구, 대전 유성구, 울산 중구, 울주, 경기 광주, 강원 강릉, 고성, 충북 청주, 음성, 충남 천안, 전북 임실, 고창, 전남 목포, 장성, 경북 포항, 영천, 영덕, 고령, 경남 양산, 창녕, 고성입니다.
특히 부산 영도구, 대구 북구, 강원 강릉, 전남 목포, 전남 장성은 문체부가 21년에 추진하는 관광거점도시와 ‘빈틈없는 한국관광(코리아토털관광패키지, KTTP)’ 사업에도 선정되었습니다.
전북 장수군 산서면 봉서리 성산(城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다. 달을 맞이하고 보낸다는 문학적인 이름을 가진 사찰이다. 영월암의 경내에 서면 부근의 여러 면이 다 내려다보일 정도로 높은 성산(城山)의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020년 개항 100주년을 맞은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항! 이곳의 겨울은 그 어느 곳보다 뜨겁다. 대게 금어기가 끝나는 12월이면 본격적인 겨울 조업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구룡포'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과메기, 오징어도 제철을 맞는다. 구룡포항 어민들은 추운 겨울 몸 녹일 틈도 없이 거친 바다로 향한다. 구룡포항 포구에는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제 속은 살필 줄 모르고 살아온 여인들이 있다. 과거부터 '여자가 배를 타면 운수가 나쁘다'는 미신 탓에 바다는 금녀의 공간으로 여겨졌다.